안녕하세요 안*도 학생!
1. 정말 예리한 질문이에요. Liquid junction potential에서도 역시 Cl⁻ 이온이 전기화학적 평형을 이루기 위해 이동을 하겠지요. 하지만 중요한 것은 liquid junction potential은 steady state에서의 potential을 의미한다는 것이에요.
구체적으로 말하면, 두 농도 차이가 0이 되는 평형 상태가 아니라, 농도 차이가 존재하는 채로 H⁺, K⁺, 또는 Cl⁻ 이온들이 이동하는 속도가 특정 속도로 수렴하면서 일정한 값의 potential이 형성되는 상태라는 의미입니다.
이 상황에서는 Cl⁻ 이온들 역시 이동하면서 미시적으로 junction potential에 영향을 주겠지만, 결국 K⁺와 H⁺의 이동에 더 크게 좌우되는 potential이 생긴다 정도로 이해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2. 영상 강의의 수정된 그래프에서, 단순히 검정색 그래프가 아래쪽으로 F(E-E0)만큼 평행이동을 하게 되면서 파란 점선을 그릴 수 있게 되고, 그 F(E-E0)만큼을 (1-alpha)F(e-E0) 및 alphaF(E-E0)로 구분지을 수 있다 정도만 이해하면 될 것 같아요! 어떻게 딱 파란색 점선이랑 만나게 되냐가 아니라, 검정 점선과 검정색 그래프와의 교점에서 세로선을 쫙 그었을 때 빨간색 그래프와 만나는 곳에서 파란 점선을 그릴 수 있다의 순서거든요.
혹시 이해가 되셨을까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