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답변이 늦어서 정말 죄송합니다.
말씀하신 내용이 맞습니다! 저 상황에서는 A,B,M,N이 있으면 제가 M은 0이라고 했으니 없어지는거지만 나머지 미지수에 대해서는
A, bA, nA 이런식으로 B와 N을 A에 대한 식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제가 그 부분까지 꼼꼼하게 짚지는 못했지만 예리하게 봐주셨네요! 끝까지 해를 구할 생각이 아니라서 저도 간단하게 넘어갔었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후 챕터에서는 저것과 비슷한 방식으로 먼저 다 구하고 나서 정규화 즉, 모든 구간에 대해 적분을 하면 1이라는 식을 세워서 최종값을 구하기도 한답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고 궁금한 내용 있으면 또 질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