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정욱 입니다.
속칭 구속조건이라고 하는 것이 운동법칙을 활용한 문제 해결의 기준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선 , A는 수평면과 접촉을 유지하므로 연직방향의 속도와 연직방향의 가속도가 0이어야 합니다.
두번째, A와 B가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줄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매순간 A와 B 의 속력은 같아야 합니다.
이를 나타내면 A의 x축방향 속도의 크기와 B의 y축방향 속도의 크기가 같아야 됨을 의미하고, 조금더 확장하면
A의 x축방향 가속도의 크기와 B의 y축방향 가속도의 크기가 같아야 됨을 의미합니다.
A에 대해
y축방향 운동방정식 : NA-10=1kg(0)
x축방향 운동방정식 : T=1kg(a)
<o:p></o:p>
B에 대해
y축방향 운동방정식 : 40-T=4kg(a)
x축방향 운동방정식 : 0=4kg(0)
위와 같이 식을 표현하시면 됩니다.
장력은 현상적인 힘이라 그 상황상황에 맞게 찾아봐야 합니다. 핵심은 줄의 질량을 무시할 때, 줄이 연결된 양 물체를 중심방향으로 당긴다는 점입니다.
크기와 방향은 연결방법에 따라 조금 상이하니 이점은 다양한 문제를 통해 감각을 익히시는거 권장합니다.
<o:p></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