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양진목입니다.
강의 중에 말씀드린 바와 같이 회로이론을 처음 공부할 때 접하는 의문들 중 대부분이 수동부호규정에 관한 것들입니다.
제 설명을 읽으시기 전에 교재 6p의 수동부호규정(특히 2.(1)~(3))의 내용을 다시 한번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1. 해당 문제는 회로에서 발생되는 전력을 구하라는 것인데 저항값들이 모두 양수이므로 저항에서는 전력을 오직 소비만 합니다. 그래서 전력을 발생(공급)할 수 있는 것은 전압원, 전류원뿐입니다. 전류원의 공급전력은 p=vi에서 v, i가 수동부호규정에 어긋나게 잡혀있을 때(6p 2.(3) 참조)인데요 6A 전류원의 방향과 이에 걸리는 전압이 수동부호규정을 만족하지 않으므로 150V와 6A를 곱하여 얻는 900W가 6A전류원의 발생(공급)전력입니다.
2. 120V 전압원의 공급전력도 6A전류원의 전력과 동일한 방법으로 p=vi를 써서 구했는데요 120V의 극성과 io의 방향이 수동부호규정을 만족하지 않으므로 이 둘을 곱한 것이 120V 전압원의 발생(공급) 전력입니다. 그런데 그 값이 음수이므로 물리적 상황에 맞게 마이너스부호를 떼면서 발생을 소비로 바꾼 것입니다.
3. 단순히 p=vi를 적용한 것입니다. 옴의 법칙은 50옴 저항의 전압을 구하기 위해 사용한 것인데요 6A 전류원과 50옴 저항이 병렬연결이므로 KVL에 의해 이 둘에 걸리는 전압이 같습니다. 그래서 50옴 저항의 전압을 옴의 법칙으로 구해서 150V를 얻었고 이를 6A전류원의 전압으로 볼 수 있으므로 p=vi를 적용한 것입니다.
답변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럼 안녕히계세요.